전체 글

좋은 영향력을 전파하기 위해 노력하는 엔지니어 리오입니다.
Elastic search Download(Mac) 아래에서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엘라스틱서치 버전을 선택하여 다운로드 합니다. https://www.elastic.co/kr/downloads/past-releases#elasticsearch Past Releases of Elastic Stack Software Looking for a past release of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 es-hadoop, Shield, Marvel, or our language clients? You're in the right place. www.elastic.co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압축해제합니다. 터미널을 실행시키고 설치된 엘라스틱서치 디렉토리로 이동후 ./bin/..
· 일상
개발팀에서 기술부채를 해결해야한다고 이야기하더라도 비지니스적 가치가 얼마나 되는지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고 기술부채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문제만 이야기한다. 개발팀의 이야기를 들은 결정권자는 그런 문제보다는 비지니스의 성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새로운 기능개발을 통해 비지니스 확장을 우선시 하게된다. 그렇게 이러한 상황이 계속되어 반복되게 되면 잦은버그와 장애로 개발자들의 불만이 쌓여서 결국 개발팀이 단체로 퇴사해버리거나 심각한 장애로 이어져 회사에 큰 피해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상황들은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흔히 접하는 이야기들이기 때문에, 개발자들은 이를 특별한 사건으로 보지 않는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 처한 회사들은 비즈니스 연속성에 심각한 위협을 받게 되며, 때로는 큰 재정적 손실을 입거나 프..
Elaticsearch 1 IndexCreationException 트러블 슈팅 레거시 버전을 사용하다가 아래와 같은 에러 발생으로 Index를 생성하는데에 실패하였다. Custom Analyzer [custom_analyzer] failed to find tokenizer under name [my_tokenizer] 현재 프로젝트에서는 한글 형태소(ko-tokenizer)를 사용하고 있지만 현재 설치된 플러그인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였다. elastic7 부터는 nori 라는 tokenizer를 공식적으로 지원하고 있지만 레거시 버전인 ES1 같은 경우는 따로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따로 플러그인을 설치해줘야한다. Mecap 플러그인 설치 ./bin/plugin --install ana..
· aws
어느날 아침에 출근하고 보니 앱이 계속 느려졌다는 문의가 들어오고 있었다. 이에 놀란 나는 헐레벌떡 에러로그 모니터링 시스템을 확인해봤고 낯선 에러 로그가 쌓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러 로그에 있는 Trace 정보들을 통해 확인해보니 API 서버의 디비 커넥션 풀이 계속 끊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위해 보기 위해 로드밸런서의 헬스체크를 확인해보니 한쪽 서버의 헬스 체크가 죽어 있었다... 피토하며 돌아가는 서버 헬스 체크가 죽어 있는 서버의 인스턴스는 위의 그림처럼 100%의 가까이 되는 CPU 사용률을 보이며 돌아가고 있었기에 빨리 연결을 끊고 원인을 파악해야 했다. 그래서 ssh 접속을 시도했지만 서버 과부하로 인해 내부에 접근할 수 없었고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인..
elasticsearch를 사용해야되는 상황이 생겨서 직접 실습하고 사용하기전에 elasticsearch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에 대한 간단한 이해와 elasticsearch와 함께 사용되는 툴들이 어떤 것이 있고 어떤 용도로 활용되는지 이해하기 위해 글로 정리하려고 한다. 인덱스(index) VS 역인덱스(inverted index) Elastic Search는 Lucene의 역인덱스(역색인)을 활용하여 높은 검색 성능을 자랑하는데 대체 역색인이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고 어떤 역활을 하기에 Elasticserach의 높은 검색 성능에 도움을 주는지 인덱스와 비교하여 알아보려고한다. 인덱스(Index) 인덱스부터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추가적인 쓰기 작업과 저장 공간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서 특정 ..
· 일상
스타트업을 선택한 이유 일단 스타트업을 다닌 이유는 SI에서 클라이언트 개발자에서 백엔드로 이직을 하면서 네카라쿠배라는 대기업에서 일하는 경험을 하고 싶었지만 지금 당장 현실적으로는 다른 지원자에 비해 경쟁력을 가진 경험도 없었고 높은 수준의 진입장벽도 존재하기 때문에 당장 준비하기보다는 차근차근 스탭을 거쳐서 올라가겠다는 생각과 드라마 실리콘벨리를 보고 내가 몸을 담고 있는 이 스타트업이 그런 기업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꿈을 품고 스타트업에서의 여정을 시작하게 되었다. 스타트업의 현실 내가 생각했었던 스타트업의 개발자는 위그림처럼 적어도 3~5명의 엔지니에가 뭉쳐서 밤새 같이 고민하고 개발하는 미래를 생각하고 시작했지만 현실은 단 두명의 개발자분들이 백엔드와 Ios를 담당하여 개발을 진행하고 있었다...
ri5
리오의 개발일지